내가 알고있는 무급유 베어링은 압입형 뿐이었는데 생각보다 다양한 종류의 베어링이 있다.
1. 압입형 베어링
압입형 베어링은 주로 고력황동, 알루미늄 청동 등을 재료로 사용 한다. 마찰이 일어나면 재료의 재질로 인해 미세 입자가 발생하면 윤활제 역할 을 하기 때문에 별도의 급유가 불필요 하다. 주로 중,저속의 환경에 사용되고 금속이기 때문에 이물질 유입이나 열악한 환경에서도 사용하기 편하다.
2. 플라스틱 베어링
플라스틱으로 된 무급유 베어링도 있는데, 이는 시중의 볼베어링의 모양을 하고 있으나 재질이 플라스틱 혹은 유리로 되었있다고 보면 된다. 플라스틱 볼베어링은 가격이 저렴하고 고속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것이 장점이다. 하지만 고온에서는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3. 세라믹 베어링
세라믹 베어링은 베어링 볼이 세라믹으로 되어있거나 전부 세라믹으로 구성되어있는 베어링 이 있다. 크게 질화규소, 지르코니아, 실리콘 나이트라이드로 구분한다. 세라믹 베어링은 금속보다 경도가 높고 무게는 가볍다. 거기에 내마모성까지 높고 고온에서도 변형이 없기 때문에 거의 모든 환경 조건에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정말 비싸다.
4. 콤파운드 베어링
콤파운드 베어링은 일반 베어링에 그라파이트를 충진해서 사용하는 베어링이다. 고온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기존 일반 베어링의 장점을 전부 가지고 있는데 열악한 환경에서 사용이 가능하지만 저속에서만 사용 할 수 있다.
'베어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어링 끼워 맞춤(설치) 방법 (0) | 2021.01.07 |
---|---|
베어링 메이커 (0) | 2020.12.22 |
UC 베어링 하우징 종류 (0) | 2020.11.06 |
베어링 실드/시일(Shield/Seal) 그리고 Sealed? - 베어링 보조기호 (0) | 2020.10.29 |
유니트 볼 베어링(Ball Bearing Unit) 구조와 특징 (0) | 2020.10.21 |